Principle : Detection Device
레이저 품질을 검출하는 다양한 Detection Device의 원리와 적용법을 소개합니다. Power Meter, Beam Profiler, Beam Waist Monitor 등 장비 선택 가이드와 용도별 비교로 시스템 성능을 최적화하세요.
Apr 05, 2025
레이저 시스템의 성능을 최적화하고 안정적인 공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레이저 품질 측정이 필수입니다. 이를 위해 사용되는 장치들이 바로 Detection Devices이며, 각각의 장치는 특정 파라미터를 측정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주요 디텍션 디바이스의 유형과 원리, 어플리케이션을 정리합니다.
목적 | 추천 장비 |
출력 측정 | Power & Energy Meter |
빔 형상 측정 | Beam Profiler |
초점 최적화 | Beam Waist Monitor |
파장 확인 | Wavelength Meter / OSA |
안정성 테스트 | Beam Pointing Monitor |
편광 확인 | Polarization Analyzer |
Laser Power & Energy Meter
레이저 파워 및 에너지 미터(Laser Power & Energy Meter)는 레이저 빔의 출력 또는 에너지를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장치입니다.
- 레이저 파워: 단위 시간당 방출되는 에너지의 양으로, W(와트), kW, mW 등의 단위로 표현됩니다.
- 레이저 에너지: 레이저 빔이 단위 시간과 단위 면적당 전달하는 총 에너지량을 말합니다.
이 장치는 센서를 통해 레이저 빔의 빛을 흡수하거나 전류로 변환하여 그 크기를 측정합니다. 예를 들어, 열전퇴 센서(thermopile)는 빛을 열로 변환해 온도 변화로 파워를 측정하고, 포토다이오드 센서는 빛을 받으면 전류를 발생시켜 파워를 계산합니다.
작동 원리
센서는 레이저 빔의 크기, 파장 범위, 펄스 폭, 반복률 등에 따라 선택되어야 하며, 다양한 에너지 레벨(최대 3kW)까지 측정 가능합니다.
Thermopile Sensor (열전퇴 센서)
- 원리: 센서 표면에 빛이 흡수되면 열로 바뀌고, 이 온도 차이가 전기 신호로 변환됩니다.
- 특징:
- 연속파(CW) 또는 펄스 레이저 측정 가능
- 열을 잘 흡수하고, 고출력에도 견딤
- 고출력일 경우 수냉식 냉각 필요
💡 예시: 1kW CW 파이버 레이저의 출력 안정성 테스트 시 사용
Photodiode Sensor (포토다이오드 센서)
- 원리: 특정 파장에서 빛을 받으면 전류가 발생 → 증폭 → 전압 측정. 광다이오드는 입사광에 비례하는 전류를 생성하며, 이를 통해 낮은 파워의 레이저 빔을 측정합니다.
- 특징:
- 빠른 응답 (나노초 단위 펄스 측정 가능)
- CW 및 고속 펄스 모두 측정 가능
- 고감도, 빠른 반응 속도
Pyroelectric Sensor (피로일렉트릭 센서)
- 원리: 온도 변화가 결정(crystal)에 전하를 발생시켜 전기 신호로 바뀝니다. 펄스 레이저의 에너지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며, 펄스에 의해 생성된 전하를 감지하여 에너지를 계산합니다.
- 특징:
- 펄스형 신호에만 반응, CW에는 반응 X
- 반복률 10kHz 이상 가능
- 고출력 레이저에 적합한 세라믹 코팅 타입도 존재
💡 예시: Nd:YAG 펄스 레이저의 에너지 측정
Integrating Sphere (적분구 센서)
- 원리: 구형 내부에 빛을 고르게 퍼뜨린 후 검출기에서 수광
- 특징:
- 빔 입사각이나 형상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에 적합
- 비균일한 빔 프로파일에도 정확한 측정 가능
💡 예시: 광섬유 출력 측정 시 유리
Fiber Optic Power Meter (광섬유 파워 미터)
- 광통신, 연구, 센서 시스템에서 광섬유 내 광 신호의 파워를 측정
Power Meter Cassette (파워 미터 카세트)
- 특징:
- 멀티채널 측정 가능 (단일/듀얼/쿼드)
- 고속 샘플링 (250kHz)
- 넓은 파장 범위 (750–1700 nm, 800–1000 nm)
용어 해설
용어 | 설명 | 예시 |
Power (출력) | 레이저가 1초에 내보내는 에너지 | 100W CW 레이저 |
Energy (에너지) | 레이저가 한 번의 펄스에서 내보내는 에너지 | 10 mJ 펄스 |
Thermopile | 열로 전기를 만드는 센서 | 레이저가 뜨거우면 전압 발생 |
Pyroelectric | 온도 변화로 전기를 만드는 센서 | 펄스에 반응하고 CW는 못 측정 |
Photodiode | 빛을 받으면 전류를 생성 | 고속 측정 가능 |
Integrating Sphere | 빛을 구 안에서 고르게 퍼뜨려 측정 | 들쭉날쭉한 빔에도 유리 |
센서 선택 시 고려할 점
- Laser Power & Energy Meter는 레이저 시스템 성능 검증, 품질 관리, 시스템 튜닝에 필수 장비입니다.
- 센서 선택은 측정 조건(출력, 파장, 반복률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 고출력, 고속 펄스, 광섬유 출력 등 다양한 상황에 맞춘 센서가 존재합니다.
항목 | 고려 요소 |
반복률 | CW이면 Thermopile, 펄스이면 Pyroelectric |
출력 범위 | 고출력일수록 적절한 감쇠 필요 |
파장 범위 | 센서의 재질에 따라 결정됨 |
응답 시간 | 빠른 측정엔 Photodiode, 느리면 Thermopile |
데미지 임계치 | 세라믹 코팅 센서 사용 가능 |
빔 직경/수렴 | 센서보다 빔이 크면 확산 또는 집광 필요 |
목적
- 출력 검증: 레이저 시스템이 원하는 출력 파워와 에너지를 정확히 제공하는지 확인합니다.
- 안정성 평가: 시간에 따른 출력 변동을 모니터링하여 시스템의 안정성을 평가합니다.
- 성능 최적화: 레이저 시스템의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해 필요한 조정을 수행합니다.
절차
- 레이저 예열: 레이저를 켜고 20~30분 정도 안정화될 때까지 기다립니다. 이는 레이저의 광학 부품이 환경과 균형을 이루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Gentec EO
- 센서 선택: 측정하려는 레이저의 파워, 파장, 빔 직경 등에 적합한 센서를 선택합니다.
- 센서 배치: 레이저 빔이 센서의 활성 영역에 정확히 입사하도록 정렬합니다. 빔이 센서 표면 전체에 고르게 분포되도록 합니다. ResearchGate
- 파장 설정: 파워 미터에서 측정하려는 레이저의 파장에 맞게 설정을 조정합니다.
- 측정 수행: 레이저를 작동시키고 파워 미터의 지시값이 안정화될 때까지 기다린 후, 측정값을 기록합니다.
- 반복 측정: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여러 번 측정을 수행하고 평균값을 계산합니다.
주의사항
- 환경 조건: 온도 변화나 공기 흐름이 측정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가능한 한 일정한 환경에서 측정합니다.
- 센서 과부하 방지: 센서의 최대 허용 파워를 초과하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 정기적 교정: 정확한 측정을 위해 파워 미터와 센서를 정기적으로 교정합니다.
제조사 현황
- Ophir Optronics: 다양한 센서와 호환되는 스마트 플러그 방식의 레이저 파워 미터를 제공합니다. Ophir Optronics
- Gentec-EO: 레이저 빔과 테라헤르츠 소스 측정 및 분석에 특화된 제품을 제공합니다. Demark China
- Coherent: 다양한 파장, 파워 레벨, 펄스 에너지에 대한 정밀한 측정을 지원하는 레이저 파워 및 에너지 미터를 제공합니다.
- YIXIST: OEM 레이저 파워 및 에너지 미터를 제조하며, 다양한 센서와 광원 측정 장비를 제공합니다. Yixist
- CCILASER: 레이저 장비를 연구, 개발, 생산, 판매하는 중국의 하이테크 기업으로, 다양한 레이저 파워 미터를 생산합니다. CCI Laser
- CNI Optics: 레이저 시스템의 국제적 설계 및 제조사로, 다양한 맞춤형 파워 측정 기기를 제공합니다.
Beam Profiler
측정 대상: 빔 프로파일(형상), 빔 균일도, 빔 센터 위치
원리
- CCD/CMOS 센서, InGaAs 센서로 2D 평면에 입사되는 레이저 빔의 에너지 분포를 시각화.
- 빔의 Gauss성, 왜곡, 핫스팟 여부 확인 가능.
적용 분야
- 고정밀 가공, 의료용 레이저, R&D
- 정렬 및 초점 튜닝
💡 예시: 레이저 커팅기의 빔 균일도 점검 시 사용.
Beam Waist Monitor
측정 대상: 빔 웨이스트(최소 지름), 레일리 길이(zR), M²(빔 품질 인자)
원리
- 이동식 센서 혹은 자동 스캐닝 시스템을 사용하여 Z축 방향의 빔 프로파일을 연속 측정.
- 곡선 피팅을 통해 가우시안 빔 파라미터 도출.
적용 분야
- 초점 위치 보정
- 광학 시스템 내 초점 품질 검증
- 정밀 가공 시스템 설계
💡 예시: 미세 구조 마킹 장비의 렌즈 포커싱 최적화 시 사용.
Wavelength Meter
측정 대상: 중심 파장, 스펙트럼 폭
원리
- 파장 분산 요소(회절 격자 또는 인터페로미터)를 이용하여 빛의 스펙트럼을 실시간 측정.
적용 분야
- 레이저 파장 안정성 검증
- 통신용 DFB/VCSEL 소자 평가
Optical Spectrum Analyzer (OSA)
측정 대상: 전체 스펙트럼, 파장 간 간섭, 노이즈
원리
- 고분해능 분광 측정으로 다중파장/모드의 정밀 분석
- 파형 간섭 분석 및 레이저 잡음 확인
Beam Pointing Stability Monitor
측정 대상: 빔 위치 변동, 진동, 흔들림
원리
- 고속 카메라 혹은 PSD(Position Sensitive Device)를 통해 빔의 X-Y 위치를 시간 축으로 추적
적용 분야
- 고정밀 스캐닝, 거리 측정, 위상 간섭 시스템 안정성 테스트
Polarization Analyzer
측정 대상: 편광 상태 (직선, 원형, 타원), 편광 각도
원리
- 편광자 + 분석기를 조합해 빛의 편광 특성 분석
- Jones Matrix, Stokes Parameter 방식 사용
Divergence Meter
측정 대상: 레이저의 발산각(Divergence)
원리
- 다중 거리에서의 빔 직경 측정 → 발산각 계산
- Beam Waist와 결합해 M² 품질 인자 측정
Share article
궁금하신 내용이 있으신가요?
언제든지 친절하게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언제든지 친절하게 안내해 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