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to : 레이저 빔 컴바이닝

산업용 레이저 가공 시스템에서 빔 컴바이닝 기술은 고출력 레이저의 성능을 극대화하고, 정밀 가공을 위한 핵심 기술입니다. 다양한 빔 컴바이닝 방식(비코히어런트, 코히어런트)을 통해 출력 향상, 빔 품질 개선 및 경제적인 효율성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위상 불일치, 열 집합 문제 등 발생할 수 있는 문제와 해결책도 다룹니다.
Act's avatar
Apr 14, 2025
How-to : 레이저 빔 컴바이닝
산업용 레이저 가공 기술에서 빔 컴바이닝은 레이저 출력을 향상시키거나, 가공 품질을 최적화하는 중요한 기술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여러 개의 레이저 빔을 결합하여 강력한 단일 빔을 생성하거나, 다양한 파장과 성질을 가진 레이저를 조합하여 특정 요구에 맞는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 기술은 고출력 레이저 시스템, 정밀 가공, 검사 시스템 등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그 중요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습니다.
  • 고출력 레이저 가공
    • 고출력 레이저는 주로 레이저 용접, 절단, 표면 처리 등에서 사용되며, 때로는 개별 레이저 소스로는 원하는 출력을 얻기 어려운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 여러 개의 레이저 빔을 결합하여 출력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금속 절단에서 고출력 레이저는 두꺼운 재료를 빠르게 절단하는 데 필요합니다.
  • 정밀 가공 및 마이크로 가공
    • 레이저 빔을 조합하여 미세한 작업을 정밀하게 수행하는 데 사용됩니다. 미세한 구조를 만들거나 복잡한 패턴을 정밀하게 절단하는 데 유용합니다. 광학 해상도집속 성능을 최적화하려면 여러 빔을 정밀하게 결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산업용 측정 및 검사 시스템
    • 비파괴 검사(NDT)나 표면 분석에서 사용되는 레이저 시스템은 고출력 레이저 빔이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를 위해 여러 레이저 빔을 하나로 결합하여 더 넓은 범위에서 정밀한 검사를 할 수 있습니다.
  • 치료 및 코팅 시스템
    • 레이저를 사용한 표면 처리코팅에서 여러 빔을 결합하여 균일한 에너지 분포를 제공하고, 각기 다른 파장의 레이저를 함께 사용하여 특정 소재의 처리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빔 컴바이닝이 중요한 이유

  • 출력 향상
    • 여러 개의 레이저 빔을 결합하면 개별 레이저보다 높은 출력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는 두꺼운 재료를 절단하거나, 더 빠른 속도로 레이저 가공을 수행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 빔 품질 개선
    • 빔 컴바이닝은 레이저의 집속 성능광학적 일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특히 고품질의 빔 결합은 고정밀 가공을 가능하게 하며, 미세한 절단이나 정밀한 표면 처리가 요구되는 작업에서 필수적입니다.
  • 경제적인 효율성
    • 여러 레이저 소스를 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더 높은 출력과 품질을 달성하면서도 비용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기존 레이저 시스템을 업그레이드할 때 빔 컴바이닝을 활용하면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빔 컴바이닝이 잘못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문제

  1. 위상 불일치(Phase Mismatch)
    1. 코히어런트 빔 컴바이닝에서 위상 불일치는 레이저 간의 간섭 패턴을 방해하여 예상보다 낮은 출력이나 비정상적인 빔 품질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빔의 위상 동기화가 잘못되면 결합 효율이 낮아져 품질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1. 열 집합 문제
    1. 빔을 결합할 때 높은 출력 밀도가 한 지점에 집중되면 열 분산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시스템의 과열이 발생하거나, 열로 인한 광학적 변형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이는 장비의 성능 저하뿐만 아니라, 가공 품질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1. 결합 효율 저하
    1. 비코히어런트 빔 컴바이닝에서는 빔 간에 위상이 맞지 않아 효율적인 결합이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이로 인해 기대했던 출력 증가 효과가 발생하지 않거나, 빔 품질이 저하되어 작업 품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1. 불균일한 빔 품질
    1. 여러 개의 레이저 빔을 결합할 때 빔의 크기, 파장, 위치 등이 일치하지 않으면 결합된 빔에서 불균일한 품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특히 고정밀 작업에서 품질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1. 복잡한 조정 및 정밀도 요구
    1. 빔 컴바이닝 시스템은 세밀한 조정과 관리가 필요합니다. 특히 여러 레이저를 결합하려면 각 레이저의 정확한 정렬과 동기화가 필수적이기 때문에, 설계와 운영에 있어 더 많은 주의와 시간이 요구됩니다. 이로 인해 시스템이 복잡해지고 운영 비용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빔 컴바이닝 유형

빔 컴바이닝 기술은 레이저 시스템에서 여러 개의 레이저 빔을 결합하여 출력 성능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기술입니다. 이 기술은 크게 Incoherent Beam CombiningCoherent Beam Combining으로 구분되며, 각 유형은 적용되는 방식과 사용되는 기술에 따라 세분화됩니다.
  • Incoherent Beam Combining (비일치 빔 결합) : Incoherent Beam Combining은 각 레이저 빔이 서로 위상 차이를 가지며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방식으로, 빔 간의 간섭을 피하면서 결합합니다. 이러한 방식은 주로 여러 빔의 출력을 결합하여 고출력을 얻거나 다양한 파장 대역을 활용할 때 사용됩니다.
  • Coherent Beam Combining (일치 빔 결합) : Coherent Beam Combining은 각 레이저 빔의 위상이 맞춰져 결합되는 방식으로, 빔 간 간섭을 통해 출력을 증대시킵니다. 이 방식은 매우 높은 결합 효율과 출력 성능을 제공합니다. 그러나 위상 제어나 정렬에 대한 정확성이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며, 복잡한 제어 시스템이 필요합니다.
대분류
하위 분류
방식 설명
장점
단점
주요 응용
Incoherent Beam Combining
Spectral Beam Combining (SBC)
서로 다른 파장의 레이저를 회절격자, 프리즘 등을 사용해 결합
높은 결합 효율 파장 간 간섭 없음 간단한 위상 제어
사용 가능한 파장 수 제한 파장 안정성 필요
파이버 레이저, 통신, 센서
Passive Component Combining
반투명 미러, 파워 커플러 등 수동 광학 부품을 활용한 결합
저비용 구조 단순
손실 큼 빔 품질 열화
저출력 시스템, 단순 마킹
Side-by-Side (Spatial Beam Combining)
여러 빔을 공간적으로 배열 후 포커싱하여 가공
간단한 구조 유연한 배열 가능
빔 품질 불균일 결합 효율 낮음
레이저 절단, 용접, 마이크로 가공
Polarization Beam Combining
서로 직교하는 편광 상태의 레이저 빔을 편광 빔 스플리터를 사용하여 결합
동일 파장 사용 가능 간단한 구현
편광 유지 필요 편광 손실 가능성
고출력 레이저 시스템, 통신
Angular Multiplexing
서로 다른 각도로 입사하는 레이저 빔을 광학 요소를 통해 결합
다중 빔 결합 가능 간단한 구조
정렬 민감성 빔 품질 저하 가능성
재료 가공, 의료 분야
Coherent Beam Combining
Tiled Aperture
각 레이저 빔을 개별적으로 정렬하여 격자 구조로 결합
고출력 가능 광학 손실 낮음
정밀 정렬 필요 위상 불안정에 민감
방위 산업, 과학용 레이저
Filled Aperture
여러 빔을 위상 정렬하여 단일 빔처럼 완전히 중첩시킴
이상적인 가우시안 빔 품질 최대 출력 가능
고도 위상 안정성 요구 고가의 위상 제어 시스템
고출력 초고정밀 가공
Mixed Aperture
Tiled와 Filled의 혼합 방식. 배열된 소스들을 위상 정렬하여 중첩
균형 잡힌 출력과 정합도
복잡한 제어 시스템 요구
연구용, 고성능 산업 장비
Active Phase Control
위상 변조기를 사용하여 각 레이저의 위상을 실시간으로 조정하여 결합
높은 결합 효율 동적 제어 가능
복잡한 시스템 높은 비용
고출력 통신, 정밀 가공
Passive Phase Locking
공통의 반사경이나 공진기를 사용하여 자연스럽게 위상을 정렬하여 결합
간단한 구조 낮은 비용
위상 안정성 낮음 환경 영향 큼
실험실 연구, 저출력 응용
 
 

비코히어런트 빔 컴바이닝 (Incoherent Beam Combining)

비코히어런트 방식은 기하광학적 접근을 기반으로 합니다. 즉, 각 레이저 빔의 위상을 일치시키지 않고, 단순히 공간적으로 정렬하거나 광학 소자(프리즘, 회절격자, 편광 스플리터 등)를 통해 하나의 빔 경로로 집속하는 방식입니다.
  • "기하광학적"이라는 의미는 빛의 파동 성질보다는 광선(ray) 단위로 취급하며, 빛의 경로(반사, 굴절, 편광 등)를 조작하여 에너지 중첩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기하광학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파동의 위상이나 간섭은 고려되지 않으므로, 파동 광학보다는 에너지의 방향성과 배치에 초점을 둡니다.
비교 항목
장점 ✅
단점 ❌
구현 난이도
위상 제어가 불필요하여 설계 및 구현이 간단함
정밀한 정렬이 필요할 수 있고, 고출력 시스템에선 구조 복잡해질 수 있음
비용
위상 안정화 장비, 액티브 위상 락킹 불필요로 비용 절감
효율 향상을 위해 고급 광학 부품이 필요할 수 있음
출력 확장성
빔을 병렬로 배치하여 쉽게 스케일업 가능
빔 품질과 효율이 출력 증가에 따라 비선형적으로 악화될 수 있음
위상 안정성
위상 정합이 필요 없으므로 진동·열 영향에 강함
위상을 정렬하지 않기 때문에 간섭 기반 응용 불가능
레이저 소스 유연성
서로 다른 파장, 편광, 출력의 레이저 결합 가능 (Spectral/Polarization 방식)
통합 후의 빔 품질(BPP, M²) 제어가 어려움
결합 효율
편광이나 파장 다중화 활용 시 높은 효율 가능
공간 배치나 분산에 따라 에너지 손실 발생 가능
빔 품질 (Beam Quality)
개별 소스의 특성을 그대로 유지 가능
결합된 빔의 전체 품질은 낮아질 수 있음 (멀티모드화 등)
시스템 안정성
액티브 피드백 없이도 안정적인 운영 가능
미세 정렬 오차나 열 팽창에 따라 컴바이닝 효율 감소 가능
응용 분야 적합성
단순 고출력 에너지 전송, 산업 가공, 레이저 무기 등
고집속, 고정밀 응용(간섭계, 정밀 측정)에는 부적합

Spectral Beam Combining (SBC)

이 방식은 서로 다른 파장의 레이저 빔을 회절격자나 프리즘 같은 광학 소자를 통해 결합하는 기술입니다. 이 방식은 높은 결합 효율을 제공하며, 파장 간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아 간단한 위상 제어가 가능합니다. 그러나 사용 가능한 파장 수에 제한이 있으며, 파장 안정성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SBC는 파이버 레이저 시스템, 통신 시스템, 센서 기술 등에 주로 사용됩니다.

Passive Component Combining

수동 광학 부품을 사용하여 레이저 빔을 결합하는 방식으로, 반투명 미러나 파워 커플러 등을 활용합니다. 이 방식은 간단하고 저렴한 구조를 제공하지만, 빔 품질 저하와 높은 손실이 단점으로 작용합니다. 저출력 시스템이나 단순 마킹에 적합합니다.

Side-by-Side (Spatial Beam Combining)

여러 개의 레이저 빔을 공간적으로 배열한 후, 포커싱하여 하나의 결합된 빔을 만들어내는 방식입니다. 이 방법은 구조가 간단하고 배열의 유연성을 제공하지만, 빔 품질이 균일하지 않으며 결합 효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단점이 있습니다. 주로 레이저 절단, 용접 및 마이크로 가공 등의 응용에 사용됩니다.

Polarization Beam Combining

서로 직교하는 편광 상태의 레이저 빔을 결합하는 방식으로, 편광 빔 스플리터를 사용하여 결합합니다. 이 방식은 동일 파장을 사용할 수 있어 효율적인 결합이 가능하며, 구현이 간단합니다. 그러나 편광 상태를 유지해야 하고, 편광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고출력 레이저 시스템이나 통신 시스템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Angular Multiplexing

이 방식은 서로 다른 각도로 입사하는 레이저 빔을 결합하는 방식입니다. 광학 요소를 통해 다중 빔을 결합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고 다중 빔 결합이 가능하지만, 정렬 민감성 및 빔 품질 저하 문제로 인한 단점이 있습니다. 이 기술은 재료 가공이나 의료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습니다.
 
 

코히어런트 빔 컴바이닝 (CBC, Coherent Beam Combining)

코히어런트 빔 컴바이닝(Coherent Beam Combining, CBC)은 여러 개의 레이저 빔을 하나의 고출력 빔으로 합치는 기술입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단순히 빔을 나란히 모으는 것이 아니라, 각 레이저가 같은 박자, 같은 리듬으로 진동하도록 ‘위상’을 맞춘다는 것입니다. 마치 여러 명의 연주자가 제각기 악기를 연주하지만 정확히 같은 박자와 음정으로 연주할 때만 완벽한 하모니가 만들어지는 것처럼, CBC는 개별 레이저들이 마치 하나처럼 동작하게 합니다. 이 방식은 결합된 빔이 단순히 밝아지는 것뿐 아니라, 빔의 품질과 에너지 밀도가 획기적으로 향상되는 효과를 냅니다.
CBC는 비코히어런트 방식에 비해 높은 결합 효율과 우수한 빔 품질을 제공하지만, 그만큼 구현이 어렵고 위상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정밀한 피드백 시스템이 요구됩니다. 반면, 비코히어런트 방식은 단순히 여러 빔을 스펙트럼이나 공간을 나눠 기하학적으로 병합하기 때문에 시스템이 비교적 단순하고 안정적이지만, 광학적 간섭을 활용하지 않기 때문에 결합 효율이 낮고, 빔의 공간 일관성(coherence)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CBC는 마치 다수의 사람에게 정확히 같은 타이밍으로 노래를 부르게 하여 합창을 만드는 것이고, 비코히어런트 방식은 여러 사람이 서로 다른 노래를 다른 시간에 틀지만, 스피커를 모아서 하나의 소리처럼 들리게 만드는 것에 가깝다고 할 수 있습니다.
구분
코히어런트 빔 컴바이닝
비코히어런트 빔 컴바이닝
위상 정렬
필수 (액티브 제어 필요)
불필요
기반 이론
파동광학 (간섭 기반)
기하광학 (에너지 중첩)
출력 효율
위상 일치 시 높은 효율
일반적으로 낮음, 손실 발생
빔 품질 (M²)
매우 우수 (가우시안 근접 가능)
상대적으로 열화됨
기술 난이도
높음 (정밀 위상 제어 시스템 필요)
낮음
안정성
외부 환경에 민감 (진동, 열 변화 등)
상대적으로 강함
적용 분야
고출력 정밀 가공, 고해상도 센서, 국방
산업용 절단, 단순 에너지 전송

Tiled Aperture

CBC 방식에는 여러 유형이 있으며, 가장 전통적인 방식 중 하나는 Tiled Aperture 방식입니다. 이는 각각의 레이저가 공간적으로 나뉘어져 배치되고, 출력된 빔이 서로 약간씩 겹치지 않은 상태에서 공간적으로 간섭해 하나의 빔처럼 보이도록 구성됩니다. 쉽게 말해, 조명 장치 여러 개를 무대 위에서 적당히 떨어뜨려 비추되, 그 빛들이 무대 중심에서 만나 조화를 이루도록 설계한 셈입니다. 이 방식은 열 분산에 유리하고 구조가 단순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빔이 완전히 겹치지 않기 때문에 결합 효율이 떨어지고 빔 품질도 다소 낮은 편입니다.

Filled Aperture

이에 반해 Filled Aperture 방식은 각 레이저의 빔을 완전히 중첩되도록 설계합니다. 모든 빛이 하나의 동일한 경로로 겹쳐 지나가기 때문에, 위상이 완벽히 맞기만 하면 이론적으로는 100%에 가까운 결합 효율을 낼 수 있습니다. 마치 여러 개의 수돗물 줄기가 정확히 겹쳐 하나의 강한 물줄기로 뿜어져 나오는 것처럼, 이 방식은 에너지 밀도와 빔 품질이 매우 우수합니다. 하지만 그만큼 위상 정렬이 매우 까다롭고, 하나의 좁은 공간에 열이 집중되기 때문에 열 관리 측면에서는 도전 과제가 됩니다.

Self-Referenced

이외에도 다양한 CBC 방식이 존재합니다. Self-Referenced CBC는 말 그대로 각 레이저가 스스로 위상을 조정하면서 동기화를 맞추는 방식입니다. 외부 기준광 없이도, 시스템 내부에서 나오는 신호를 피드백 삼아 실시간으로 위상을 조정하므로 보다 유연하고 자동화된 위상 정렬이 가능하지만, 제어 시스템이 복잡하고 환경 변화에 민감할 수 있습니다.

Injection-Locked CBC

또 다른 방식으로는 Injection-Locked CBC가 있습니다. 이는 하나의 마스터 레이저가 전체 시스템의 기준이 되어 다른 모든 레이저(슬레이브 레이저)를 이 마스터의 위상에 맞추게 합니다. 이 방식은 매우 정밀한 위상 동기화가 가능하고, 위상 노이즈가 낮아 고품질의 결합 빔을 만들 수 있습니다. 그러나 마스터 레이저의 품질에 전체 시스템이 의존하게 되며, 마스터의 출력 한계 때문에 전체 출력을 키우는 데 제약이 생기기도 합니다.

Fiber based CBC

마지막으로 Fiber-based CBC 방식은 파이버 레이저에서 출력된 여러 빔을 특수한 광섬유 결합기를 통해 하나의 파이버로 합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컴팩트한 시스템 구현에 적합하고 파이버 기반의 광학 모듈과 잘 결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광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매우 정밀한 정렬이 필요하고, 결합기 설계가 복잡할 수 있습니다.
 
 
빔 컴바이닝 기술은 고출력과 고품질 가공을 실현하는 데 있어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다양한 방식의 빔 컴바이닝을 통해 각각의 산업 현장에 맞는 최적의 솔루션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물론, 각 방식이 가진 장단점과 기술적 도전 과제를 충분히 이해하고 적절히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미래에는 더욱 발전된 위상 제어 기술정밀 조정 시스템을 통해 빔 컴바이닝의 효율성과 품질을 한층 더 개선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를 통해 산업용 레이저 가공의 가능성은 더욱 넓어질 것입니다.
Share article

Gaussian co., Lt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