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저 시스템을 설계하거나 운영하다 보면 자주 등장하는 개념이 있습니다. 바로 종모드(Longitudinal Mode)와 횡모드(Transverse Mode)입니다. 이 모드들은 단순한 이론이 아니라, 레이저의 빔 품질, 출력 안정성, 가공 정밀도 등과 직결되는 핵심 요소입니다. 이 글에서는 종모드와 횡모드가 무엇인지, 왜 발생하는지, 그리고 어떻게 제어할 수 있는지를 실제적인 예시와 함께 풀어보겠습니다.
종모드(Longitudinal Mode)란?
정의
종모드는 레이저 공진기 내부에서 빛이 광축 방향(앞뒤)으로 왕복하면서 형성되는 진동 모드 입니다. 공진기의 길이에 따라 특정 파장(혹은 주파수)만 선택적으로 증폭되며, 이것이 종모드의 기본 원리입니다.
예시
공진기는 거울 두 개로 구성된 "빛의 기타" 같은 역할을 합니다.
- 줄 길이에 따라 소리 파장이 정해지듯,
- 공진기 길이에 따라 특정 파장만 공진하게 됨
- 이로 인해, 하나의 레이저에서 여러 개의 주파수(파장)가 동시에 존재할 수 있습니다
왜 발생하나요
레이저 공진기 내부에서는 파장이 공진기 길이의 정수배가 될 때만 공진이 일어납니다. 이 조건을 만족하는 주파수만이 선택적으로 증폭되어 발진하게 됩니다.
L : 공진기 길이
λ : 파장
q : 정수
발생할 수 있는 문제
- 멀티모드 발진 시 파장이 다르면 간섭무늬 또는 출력 불안정성 발생
- 특히 정밀 계측이나 간섭계 기반 응용에서는 단일 종모드(SLM: Single Longitudinal Mode) 사용이 중요함
횡모드(Transverse Mode)란?
정의
레이저 빛이 횡방향(가로/세로)으로 어떤 분포 형태를 가지는지, 전기장 또는 에너지 분포 모양을 나타냅니다.
즉, 빔의 횡 단면에서 에너지 분포 모양을 말합니다.
대표적 모드
모드 이름 | 특징 | 빔 프로파일 형태 |
TEM₀₀ (기본모드) | 가장 균일하고 대칭적 | 동그란 Gaussian 모양 |
TEM₁₀, TEM₀₁, TEM₁₁ 등 | 중심이 비어 있거나 여러 개 피크 | 비대칭, 복잡한 분포 |
왜 발생하나요?
- 레이저 내부의 거울 배치, 입사 각도, 광학 손실, 매질의 비균일성 등으로 인해 기본 모드 외의 횡모드도 공진하게 됨
- 특히 고출력 레이저나 빔 직경이 클 경우 여러 횡모드가 공진함
발생할 수 있는 문제:
- 횡모드가 여러 개 섞이면 빔이 비균일하게 퍼짐
- 마킹/절단 품질 저하, 스폿 크기 불균일
- 포커싱이 어려워지고, 에지 품질 불안정
파이버 전송에서 모드 변화는 왜 일어날까요?
파이버는 “모드 필터”와 같다
광섬유는 자체적으로 허용 가능한 모드 수가 정해져 있습니다.
- 싱글모드(SMF): TEM₀₀과 유사한 단일 모드만 전송 가능
- 멀티모드(MMF): 여러 각도와 경로로 빛이 진행 → 모드 분산, 왜곡 발생
파이버 종류 | 특징 | 모드 특성 |
싱글모드 파이버 (SMF) | 코어 직경 ≈ 8–10μm | TEM₀₀만 전송 (고정밀, 낮은 손실) |
멀티모드 파이버 (MMF) | 코어 직경 ≈ 50–100μm | 여러 모드 전송 가능 (간편하지만 분산 큼) |
모드 변형이 일어나는 이유:
- 파이버 단면의 비균일성
- 중심 코어와 클래딩의 굴절률 차이로 모드가 분리됨
- 휘어짐, 장력, 온도 변화
- 파이버가 휘면 빛의 전파 경로가 바뀌고, 모드 간 간섭 발생
- 입사각이 다르면 다른 모드로 커플링
- 정렬 불량이나 편심 시 고차 모드로 전환될 수 있음
문제점:
- 빔 품질 저하 (M² 증가) → 포커스가 퍼짐
- 간섭 현상 → 출력 강도가 출렁이거나 스포클링 발생
- 전달 손실 증가 → 출력 파워 감소
요약
개념 | 의미 | 발생 원인 | 문제점 |
종모드 | 광축 방향 파장 모드 | 공진기 길이 | 주파수 불안정, 간섭 |
횡모드 | 횡단면 에너지 분포 | 수차, 정렬 문제 | 빔 비대칭, 품질 저하 |
파이버 모드 | 파이버 내 모드 전달 | 휘어짐, 편심 | 전송 손실, 빔 품질 저하 |
레이저 시스템에서 모드 제어가 중요한 이유
레이저 시스템에서 모드 제어와 파이버 커플링은 빔 품질, 전송 효율, 시스템 안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적절한 모드 제어를 통해 원하는 빔 프로파일과 주파수를 얻을 수 있으며, 효율적인 파이버 커플링은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고 시스템의 전반적인 성능을 향상시킵니다.
요소 | 관리 이유 |
종모드 | 주파수 안정성, 간섭계 응용, 정밀 센싱 |
횡모드 | 가공 품질, 스팟 균일도, 고출력 레이저에서 핵심 |
파이버 모드 안정성 | 원거리 전송 시 품질 유지, 고출력 커플링 효율 |
레이저 시스템 설계 시 모드 제어 전략
종모드(Longitudinal Mode) 제어
정의: 레이저 공진기 내에서 빛이 광축 방향으로 왕복하며 형성되는 주파수 모드입니다.
제어 전략:
- 공진기 길이 최적화: 공진기 길이를 정밀하게 조절하여 원하는 파장만 증폭되도록 합니다.
- 선택적 광학 필터 사용: 특정 파장만 통과시키는 필터를 삽입하여 단일 종모드(SLM)를 유지합니다.
- 온도 안정화: 온도 변화는 공진기 길이와 굴절률에 영향을 주므로, 온도 제어를 통해 모드 변동을 최소화합니다.
횡모드(Transverse Mode) 제어
정의: 레이저 빔의 횡단면에서 에너지 분포를 나타내는 모드입니다.
제어 전략:
- 광학 요소의 정렬 정확도 향상: 거울과 렌즈의 정밀한 정렬로 불필요한 횡모드 발생을 방지합니다.
- 빔 제한 요소(Aperture) 활용: 불필요한 고차 횡모드를 차단하여 기본 모드(TEM₀₀)만 통과시키도록 합니다.
- 광학 매질의 균일성 유지: 매질의 불균일은 모드 왜곡을 유발하므로, 균일한 매질 사용이 중요합니다.
파이버 커플링 설계 팁
싱글모드 파이버 커플링
특징: 코어 직경이 작아 정밀한 정렬이 필요하며, 높은 결합 효율을 달성하기 어렵습니다.
설계 팁:
- 모드 필드 직경(MFD) 매칭: 레이저 빔의 MFD와 파이버의 MFD를 일치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 고정밀 포지셔닝 시스템 사용: 나노미터 수준의 조정이 가능한 스테이지를 사용하여 정렬 정확도를 높입니다.
- 렌즈 선택: 적절한 초점 거리를 가진 렌즈를 사용하여 빔을 파이버 코어에 정확히 집중시킵니다.
멀티모드 파이버 커플링
특징: 코어 직경이 크고 여러 모드를 전송할 수 있어 결합이 비교적 용이하지만, 모드 분산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설계 팁:
- 빔 크기와 NA 매칭: 레이저 빔의 수치 개구수(NA)와 파이버의 NA를 일치시켜 결합 효율을 높입니다.
- 렌즈 시스템 최적화: 비구면 렌즈 등을 사용하여 구면 수차를 최소화하고 빔 품질을 유지합니다.
- 정렬 공차 고려: 멀티모드 파이버는 정렬 공차가 넓지만, 최적의 성능을 위해서는 여전히 정확한 정렬이 필요합니다.
Share article
궁금하신 내용이 있으신가요?
언제든지 친절하게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언제든지 친절하게 안내해 드리겠습니다.